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
Ten Theories of Human Nature (1974년)
인문 > 철학
레슬리 스티븐슨, 데이비드 L. 헤이버먼 지음 | 박중서 옮김
496쪽 | 18,000원
ISBN: 978-8990809-15-5
2006년 8월 3일 출간
✦ 책 소개
각종 서양철학 담론은 물론, 유교와 힌두교, 성서까지 인간의 본성에 관한 여러 문제와 중요한 의문들에 대한 이론들을 간결하게 해설했다. 1974년 초판 출간 이후 동서양 사상 분야에서 최고의 개론서로 명성을 얻어온 책이다. 한국에서도 20여 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스테디셀러로 큰 인기를 누렸으며, 이번에 출간된 책은 2004년에 나온 4번째 개정판을 옮긴 것이다.
이 책은 지은이 레슬리 스티븐슨이 1970년 철학을 처음 공부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개론서 성격으로 집필한 것이 그 시초이다. 철학과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인간의 본성, 즉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택하고, 고대부터 현대까지 여러 사상가들이 내놓은 다양한 주장들을 소개하고 비교하며 나아가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까지 답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 가지 이론을 다룬 초판 이후 출간된 4판에서는 에드워드 O. 윌슨의 진화생물학을 비롯해 촘스키, 뒤르켐 등의 주장을 포괄적으로 소개한 진화론에 대한 장이 추가, 총 10가지 사상을 다루고 있다. 또한 “사상사적 간주곡”이라는 장을 따로 마련하여, 본 장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고대 후기부터 근대 전기의 사상가들의 이론까지 포함시켰다.
각각의 이론을 보다 쉽게 비교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각 이론마다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에 관한 이론’, ‘인간의 문제점에 관한 진단’, ‘인간의 문제점에 관한 처방’ 등에서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 여러 철학/사상의 유용한 주장들을 다시금 되새겨보면서 독자로 하여금 각자 이 세상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데 있어 나름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게 했다.
✦ 지은이
레슬리 스티븐슨 (Leslie Stevenson)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 철학 담당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존재의 형이상학(The Metaphysics of Expereience)』(OUP, 1982), 『과학의 여러 가지 얼굴: 과학자와 가치와 사회에 관한 개론, 제2판(The Many Faces of Science: An Introduction to Scientists, Values, and Society, 2/e)』(헨리 바이얼리와의 공저, 2000) 등이 있고, 편저서로는 『인간의 본성에 관한 연구 독본, 제2판(The Study of Human Nature: A Reader, 2/e)』(OUP, 1999)이 있다.
데이비드 L. 헤이버먼 (David L. Haberman)
인디애나 대학 블루밍턴 캠퍼스의 종교학 담당 교수이다. 저서로는 『루파 고스바민의 박티라삼르타신두(The Bhaktirasamrtasindhu of Rupa Gosvamin)』(2003), 『구원의 방법으로서의 행위: 라가누가 박티 사다나 연구(Acting as a Way of Salvation: A Study of Raganuga Bhakti Sadhana)』(2001), 『열두 숲으로의 여행: 크리슈나와의 만남(Journey through the Twelve Forests: An Encounter with Krishna)』(OUP, 1994) 등이 있다.
✦ 옮긴이
박중서
출판기획가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저작권센터(KCC)에서 에이전트로 일했으며, ‘책에 대한 책’ 시리즈를 기획하기도 했다. 옮긴 책으로는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거의 모든 사생활의 역사』 『신화와 인생』 『인간의 본성에 관한 10가지 이론』 『지식의 역사』 『끝없는 탐구』 『빌 브라이슨 언어의 탄생』 『물이 몰려온다』 『신화의 시대』 등이 있다.
✦ 목차
머리말
서론
상반되는 이론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상반되는 이론들
상반되는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1장 유교: 성인(聖人)들의 도리(道理)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이후의 발전
비판적 토론
더 읽을거리
제2장 우파니샤드 힌두교: 궁극적인 지식을 향한 추구
우주에 관한 이론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진단
처방
서로 다른 해석들
샹카라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 라마누자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비판적 토론
더 읽을거리
제3장 성서: 하느님과 관계된 인간
형이상학적 배경: 유대-기독교적 개념에서의 하느님
인간의 본성에 관한 히브리의 이론
진단: 인간의 불복종
처방: 하느님의 언약과 회복
신약성서
신약성서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
진단: 죄에 대한 신약성서의 견해
처방: 예수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
기독교의 영적인 부분과 초자연적인 부분
더 읽을거리
제4장 플라톤: 이성의 지배
플라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형상의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영혼의 세 가지 구조
진단: 영혼과 사회간의 부조화
처방: 철인군주의 교육과 지배를 통한 영혼과 사회간의 조화
더 읽을거리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의 완성이라는 이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적 배경: 성질로서의 형상, 그리고 네가지 질문
인간 본성에 관한 이론
이성을 포함한 여러 능력의 집합체인 영혼
이상과 진단: 인간의 완성, 덕과 악,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지혜
깨달음, 혹은 처방: 정치적 숙련과 지적 관조
더 읽을거리
사상사적 간주곡
플라톤 이후의 고대 사상: 철학은 과연 어떤 인생 지침을 제공하는가?
스토아 학파 / 에피쿠로스 학파 / 신플라톤주의
중세: 신앙에서 이성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이슬람 철학자들 / 아퀴나스(1224-1274)
종교개혁: 신앙의 권위를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
과학의 발전: 어떻게 과학적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까?
홉스(1588-1679) / 데카르트(1596-1950) / 스피노자(1632-1677)
계몽주의: 과학이 우리 삶의 지침이 될 수 있는가?
흄(1711-1776) / 루소(1712-1778) / 콩도르세(1743-1794)
제6장 칸트: 이유와 원인, 역사와 종교
칸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과 지식의 한계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지각과 개념, 이유와 원인과 자유의지
진단: 이기심과 사회
처방: 순수한 종교와 문화적 발전
더 읽을거리
제7장 마르크스: 인간 사회의 경제적 기반
마르크스의 생애와 저술
역사적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경제학, 사회, 그리고 의식
진단: 소외, 자본주의, 그리고 착취
처방: 혁명과 유토피아
더 읽을거리
제8장 프로이트: 정신의 무의식적 기반
프로이트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적 배경: 신경학, 결정론, 그리고 유물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정신적 결정론, 무의식, 본능, 그리고 아동발달
진단: 정신적 부조화, 억압, 그리고 신경증
처방: 정신분석 요법
비판적 논의: 프로이트는 사이비 과학자인가?
비판적 논의: 도덕론자로서의 프로이트
더 읽을거리
제9장 사르트르: 근본적인 자유
사르트르의 생애와 저술
형이상학: 의식과 대상, 무신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 존재와 본질, 부정과 자유
진단: 불안과 불성실, 타인과의 갈등
방: 반성적인 선택
“제1윤리학”: 만인을 위한 본래성과 자유
“제2윤리학”: 사회와 인간의 욕구
더 읽을거리
제10장 인간의 본성에 관한 다윈주의 이론
진화론
다윈의 자연선택론 / 진보인가, 진보가 아닌가? / 유신론자인가, 무신자인가?
진화론에 의거한 인간의 본성
뒤르켐과 표준 사회과학 모델 / 스키너와 행동주의 / 촘스키와 인지심리학
/ 틴버겐과 동물행동학 / 윌슨과 사회생물학 / 사회생물학에 대한 반박
/ 투비와 코스미데스: 통합적 인과 모델
진화론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
스키너: 행동 기술에 관하여 / 로렌츠: 인간의 공격성에 관하여
/ “생물학적 결정론”에 관한 좌파의 반발 / 촘스키: 인권에 대한 논쟁 / 윌슨의 처방
더 읽을거리
결론: 상반되는 이론의 종합은 가능한가?
인간의 본성에 관한 선천적 이론
인간의 본성에 관한 경험적 이론
진단
처방
더 읽을거리
옮긴이의 말
주
찾아보기
✦ 책 속에서
우선 실존주의 사상의 역사적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사르트르를 이해해 보도록 하자. 실존주의의 관심사는 대략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 실존주의는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관심을 갖는다. 실존주의자들은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일반 이론이 오히려 가장 중요한 사실을 간과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요한 사실이란 곧 각 개인의 고유 성과, 각자가 처한 상황이다. 둘째로 실존주의는 과학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인 진리(비록 이것 역시 인간에 대한 것이긴 하지만)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삶의 ‘의미’나 목적에 더욱 관심을 갖는다. 즉 ‘객관적’ 진리보다는 오히려 내적인 ‘주관적’ 경험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셋째로 실존주의는 ‘자유’를 강조한다. 이때 자유란 단지 특정한 행동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태도나 계획이나 의도나 가치관이나 생활방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각 개인의 능력까지도 의미한다. 전형적인 실존주의자는 단지 이것을 단언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그에 따라 ‘행동’하도록, 즉 각자의 자유를 실천하도록 설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