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 일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 윤규상 옮김
404쪽 | 16,500원
ISBN: 979-11-87038-6-03
2020년 7월 30일 출간
✦ 책 소개
삶에서 전성기를 맞은 누군가의 마음을 들여다본다면 어떤 걸 보게 될까.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월든』의 교정을 마무리하고, 드디어 세상에 내보이기까지의 3년 동안 소로가 차곡차곡 써 내려간 일기에 비친 모습은 삶의 ‘정점’이란 봉우리에 오른 정복자 같은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소로는 앞선 실패와 좌절을 통로로 삼아 자연 가까이에서 삶을 꾸리는 마을 사람들, 주변을 노니는 네발짐승과 때를 맞춰 오가는 철새와 풀벌레들, 여러 꽃나무와 상록수 들 사이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 속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 그리고 그 소박한 자리를 벗어나기보다 그곳을 더 꾸준히 바라보고 기록함으로써 삶을 더 풍부하게 가꾼다. 『소로의 일기: 전성기편』은 소로라는 위대한 작가의 가장 빛나는 순간을 맑게 비추는 선물 같은 문장으로 가득하다.
✦ 지은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 (Henry David Thoreau)
1817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서 태어났다. 1833년 하버드 대학에 입학한 그는 모범생이었지만 학점에는 무관심했으며 도서관에서 책 읽는 것을 좋아했다. 대학 시절에 만난 시인이자 초월주의 사상가인 에머슨의 제안에 따라 일기를 쓰기 시작했는데, 이 사색의 결과물은 그의 작품의 자료가 되고 시대를 뛰어넘는 삶의 지혜가 되었다.
1845년 월든 호숫가에 오두막집을 지은 소로는 자연 속에서 최소한의 간소한 생활을 하면서 자족의 즐거움을 맛보았다. 또한 그곳에서 밭을 일구고 자유롭게 여가를 즐겼으며 동식물을 관찰하고 독서와 명상으로 시간을 보냈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월든』은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노예제도와 멕시코 전쟁에 반대하여 인두세 납부를 거부하다 수감되었던 경험을 토대로 쓴 『시민 불복종』은 국가권력에 맞서 개인의 자유를 옹호한 책이다. 그 당시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세계의 역사를 바꾼 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세기 마하트마 간디의 인도 독립운동 및 마틴 루터 킹의 흑인 민권운동에 영감을 준 것으로 유명하다. 1859년에는 노예제도 폐지 운동가 존 브라운을 위해 의회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노예제도 폐지 운동에 헌신하며 활발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펼치다 1862년 콩코드에서 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 옮긴이
윤규상
옮긴 책으로 『소로의 일기: 소로의 세계를 여행하는 법』, 『소로의 일기: 자연의 기쁨을 삶에 들이는 법』, 『소로우의 강』, 『헨리 데이빗 소로우』, 『소로우의 일기』 등 30여 권이 있다. 한국외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현재 소로의 서적들을 우리말로 옮기는 데 애쓰고 있다.
✦ 출판사 서평
“열차 시간이 아닌 우주의 시간을 지켜라.”
“불면의 하룻밤이 오랜 여행보다 훨씬 더 많은 생각을 낳는다.”
_본문에서
작가이자 초월주의 사상가, 생태주의자, 자연과학자
그리고 누구보다 충실한 생의 기록자
‘소로의 세계’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풍부하게 조명한다
삶에서 전성기를 맞은 누군가의 마음을 들여다본다면 어떤 걸 보게 될까.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월든』의 교정을 마무리하고, 드디어 세상에 내보이기까지의 3년 동안 소로가 차곡차곡 써 내려간 일기에 비친 모습은 삶의 ‘정점’이란 봉우리에 오른 정복자 같은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소로는 앞선 실패와 좌절을 통로로 삼아 자연 가까이에서 삶을 꾸리는 마을 사람들, 주변을 노니는 네발짐승과 때를 맞춰 오가는 철새와 풀벌레들, 여러 꽃나무와 상록수 들 사이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 속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 그리고 그 소박한 자리를 벗어나기보다 그곳을 더 꾸준히 바라보고 기록함으로써 삶을 더 풍부하게 가꾼다. 『소로의 일기: 전성기편』은 소로라는 위대한 작가의 가장 빛나는 순간을 맑게 비추는 선물 같은 문장으로 가득하다.
여가, 일상, 나와 가까운 자연의 가치를 알아본
‘뉴노멀’의 삶을 미리 보다
“우리는 길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인식하기 시작하고, 우리를 둘러싼 관계망이 무궁함을 깨닫기 시작한다.”
_본문에서
어김없이 휴가철이 다가왔지만 여행으로 휴가를 보내기도 쉽지 않은 때다. 많은 사람이 때마다 먼데로 떠날 궁리를 하는 것은 여행이 주는 일탈감 때문이다. 지척에서 매일 나를 얽어매는 것들로부터의 도피, 일상적인 곤란함에서 비껴나는 일. 말 그대로 ‘피난’이다. 그런 것을 휴식으로 느끼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하지만 팬데믹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지척의 일상적 공간은 말 그대로 ‘피난처’가 되었고, 이제 많은 이가 자의로든 타의로든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이란 시간을 소중히 여기게 됐다. 다만 여태껏 ‘주말만 기다리는 삶’에 더 익숙했던 사람들은 일상이란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향유할지 막막하다. 그런 지금, 『소로의 일기』라는 160년 이상 시차를 두고 찾아온 이 일상의 기록이 귀한 이유다.
지척의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향유할 것인지에 관해서는 30대 중반의 소로만큼 전문가였던 사람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그는 매일 그날의 날씨와 구름의 움직임, 가까운 냇가와 호수를 덮은 안개와 물결, 첫 아침을 깨운 노랫소리의 주인공인 새들의 이름, 그해 제일 처음 꽃을 피운 식물과 가장 마지막까지 푸르렀던 나무를 바라보고, 기억하고, 기록한다. 인간이 정한 속도와 시간이 아닌 우주와 계절이 만든 시간을 따라 살았던, 불면의 하룻밤이 먼 곳을 여행하는 것보다 낫다고 말하는 소로는, 평범한 시간과 공간에서 벗어나기보다 그곳을 더 꾸준히 바라봄으로써 자기 삶을 더 풍부하게 가꾼다.
작가이자 초월주의 사상가, 생태주의자, 자연과학자
그리고 누구보다 충실한 생의 기록자
‘소로의 세계’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풍부하게 조명한다
“우리는 일기에서 대부분 사람이 거의 알지 못했던, 그의 가까운 친구들마저 미처 몰랐던 소로를 만날 기회를 얻는다.”
-버지니아 울프
미국을 대표하는 생태주의 문학가이자 사상가 소로의 진면목을 담은 책 『소로의 일기: 전성기편』이 갈라파고스에서 출간됐다. 20세부터 34세까지 젊은 날의 사색을 담은 『소로의 일기: 청년편』에 이은 두 번째 책이다. 『소로의 일기: 전성기편』에는 자연의 관찰과 기록에 몰두하기 시작한 1852년부터 대표작 『월든』이 출간된 1854년까지 3년간의 기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하나의 삶이 그 정점에 닿아있음을 무엇으로 알 수 있을까. 자기 삶에서 전성기를 맞은 누군가의 마음을 들여다본다면 어떤 걸 보게 될까. 성공에의 도취와 더 큰 성공에 대한 희구?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월든』의 교정을 마무리하고, 드디어 세상에 내보이기까지의 3년 동안 소로가 차곡차곡 써 내려간 일기에 비친 모습은 삶의 ‘정점’이란 봉우리에 오른 정복자 같은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어떤 이의 심중을 가까이서 들여다볼 기회도 무척 귀하지만, 그 한가운데를 수놓은 성찰의 말들이 아름다운 경우는 더욱 귀하다. 『소로의 일기: 전성기편』은 소로라는 위대한 작가의 가장 빛나는 순간을 맑게 비추는 선물 같은 문장으로 가득하다.
좌절을 산책과 사색으로 물들이고,
가장 인간다운 삶을 위해 자연을 벗 삼으며
자연의 기쁨을 삶으로 초대하는 윤리적 삶의 가능성
“인간은 나로 하여금 또 다른 세상을 꿈꾸게 하나, 자연은 나를 이 세상에 만족케 한다.”
_본문에서
30대 중반을 맞은 소로의 삶은 위대한 작가에게서 기대되는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첫 책 『소로우의 강』이 크게 실패해 빚더미로 돌아온 책 수백 권을 떠안았고, 맺어온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깊이 교유해 왔던 초월주의자 그룹과 갈등하며 고독함을 느끼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이 시기를 소로의 ‘전성기’로 만드는 것은 『월든』의 출간이라는 한 가지 사건 때문만은 아니다. “우리는 길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인식하기 시작하고, 우리를 둘러싼 관계망이 무궁함을 깨닫기 시작한다”는 일기 속 고백처럼, 소로는 여러 실패와 좌절, 갈등이라는 이 생의 ‘길 잃음’을 기회이자 통로 삼는다. 소로는 소박한 삶을 꾸리는 콩코드 마을 사람들, 주변을 노니는 네발짐승과 때를 맞춰 오가는 철새들, 울음소리로 계절을 일깨우는 풀벌레들, 첫 꽃을 피우는 여러 꽃나무와 겨울에도 지지 않는 상록수들 사이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 속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
자연스레 이 시기 소로는 콩코드 지역의 동물과 식물, 기후에 대한 관찰에 몰두했고, 쓰인 일기 대부분에서 계절의 순환과, 잎과 열매가 익어가는 모습 같은 자연 현상에 대한 묘사에 집중한다. 때문에 일기에 적힌 콩코드와 그 주변 지역의 세밀한 초상은 생태학적으로도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정도로 자세하고 생생하다. 그런 그가 유일하게 자연에 대한 관찰을 멈추는 때는 도망 노예였던 앤서니 번즈가 개정된 법 집행으로 인해 자유주였던 보스턴에서 체포되었을 때뿐이었다.
하지만 결국 소로가 인간이 만든 사회에서 받은 상처를 보듬기 위해 다시 돌아오는 곳 또한 자연이었다. 소로에게 처음 일기를 쓸 것을 권했던 R. W. 에머슨이 “자연에 대해 무지한 사람은 자신에 대해서도 무지한 법”이라 말했듯, 소로는 시종 자연을 들여다봄으로써 스스로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자연 속에 내재한 윤리를 체화한다. 소박하고 윤리적인 삶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지금, 『소로의 일기』는 우리에게 앞으로 어떤 세상을 꿈꿔야 할지, 무엇을 지켜야 할지에 대한 통찰을 전한다.
✦ 목차
1852년, 35세: 인생에서 성급함은 낭비를 낳는다
1853년, 36세: 오늘은 이름 없는 위대하고 아름다운 꽃이다
1854년, 37세: 계절은 공연히 생겨난 것이 아니다
옮긴이의 말: 자연에서 되찾은 행복
✦ 책 속에서
우리가 허겁지겁 끼니를 때우면서 너무 거칠고 허황한 삶을 살고 있지 않나 모르겠다. 언제까지나 한가하게 살 수만은 없으나, 그렇다고 주어진 나날이 얼마 남지 않은 양 허둥지둥 살지는 말자. 사계절과 보조를 맞추어 자연을 한껏 느끼면서 떠오르는 온갖 생각을 즐길 여유를 갖자. 우리가 잠시 머무는 나그네에 불과할지라도 자연의 왕국을 느긋하게 나아가는 삶을 살자.
-13쪽
여행자에게 중요한 것은 어디를 가서 무엇을 보느냐가 아니다.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식으로 여행하며 얼마나 진지한 경험을 하는지이다. … 인간, 자연과 참된 관계를 맺으면서 낡고 진부한 자리를 피해 단순하고 소박하게 자신만의 방식으로 여행하고, 발이 아프든 시름에 젖어있든 삶을 얼마라도 정직하게 겪는다면 어디로, 얼마나 멀리 가든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래야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멀리까지 내다볼 수 있다. 여행할 때는 가만히 서 있기보다 이리저리 움직이는 편이 더 자연스러우므로, 자연스러운 참된 삶을 사는 게 더 쉬울지 모른다.
-13~14쪽
나는 이 지구에서 서른 남짓한 해를 살아왔다. 하지만 윗사람에게서 어떤 값어치 있는 성실한 조언 한마디 들어본 적이 없다. 그들은 내게 어떤 말도 해주지 않았다. 충고해 줄 말이 한마디도 없었는지 모른다. 내가 살아보지 못한 인생, 시도해 보지 않은 실험이 있다. 누군가가 살아본 인생, 시도해 본 실험은 내게 아무런 쓸모가 없다. 내가 언젠가 값어치 있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된다면, 나는 위 세대들이 거기에 대해 어떤 말도 하지 않았음을 떠올리게 될 것을 믿는다. 어린아이였을 때 신비였던 것들은 노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신비로 남는다.
-42쪽
마른풀이 바스락거리는 소리는 침묵의 소리다.
-65쪽
볕이 강해지면 그늘도 짙어진다.
-72쪽
병든 영혼은 나 자신의 삶과 전망만이 진실하고 정상적인 것이라 우긴다. 용기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동일한 사물이 얼마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107쪽
단단히 닫힌 솔방울은 억지로 열려는 어떤 폭력적인 시도도 거부한다. 칼로 힘써 잘라야 간신히 열릴 뿐이다. 그러다가 온기와 건조의 부드러운 설득에 굴복한다. 솔방울이 열리는 시기 또한 또 하나의 계절이다.
-148쪽
사실 우리는 길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인식하기 시작하고, 우리를 둘러싼 관계망이 무궁함을 깨닫기 시작한다.
-165쪽
낙엽이 깔린 길을 걷는 건 얼마나 신선하고 즐거운 일인가! 발밑에서 와삭와삭 부서지는 소리가 들린다. 낙엽은 신선하고 바스락거리는 건강에 좋은 어린 희춘차이고 녹차다. 이들이 무덤으로 가는 길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얼마나 부드럽게 땅에 떨어져 바람에 구르다가 흙으로 돌아가는가. 우리의 흙바닥을 수천의 빛깔로 꾸며 살아 있는 것으로 만들기에 이보다 더 적합한 것은 없다. 낙엽들이 가볍고 쾌활하게 자신의 무덤으로 떼 지어 몰려간다. 이들은 상복을 입지 않는다. 땅 위를 이리저리 즐겁게 뛰어다니며 숲 전체에 자신의 이야기를 속삭이다가 적당한 무덤을 고른다. 머리 위 높은 곳에서 손을 흔들어대다가 이제 얼마나 만족스럽게 자신의 몸을 낮추고 흙으로 돌아가는가.
-239쪽
인간이 천할 때 자연의 아름다움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우리는 호수에 비친 고요한 자신의 모습을 보러 호수로 간다. 자신의 모습이 잔잔하지 못할 때에는 호수에 가지 않는다. 통치자와 피통치자 모두 아무 원칙 없이 사는 나라에 무슨 고요가 있을 수 있겠는가? 정치가의 비속함이 자꾸만 생각나 산책에 방해가 된다. 국가가 내 생각을 죽이고 있다. 나는 자연을 보려 하나 다 헛된 노력일 뿐이다.
-354쪽
인격의 파종기를 거치지 않고 어떻게 사고의 수확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372쪽